이번에 자바스크립트 수업을 들으면서 새로 접하는 단어 Ajax였다. 여러 강의에서 지나가다 들었을 법도 한데 무언가 굉장히 생소했다. Ajax란 비동기 방식의 자바스크립트와 XML을 가리킨다고 한다.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의 차이점은 동기방식의 경우 서버에 신호를 보냈을때 응답이 돌아와야 다음 동작을 수행 할 수 있고 비동기 방식은 그와 반대로 신호를 보냈을때 응답상태와 상관없이 다음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한다. 아직까지는 정확한 이해가 가지 않기 때문에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본다.
Ajax는 화면 전환없이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XML, JSON, 텍스트, HTML 등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이용한다고 하는 것이라고 한다. 쉽게 설명하자면 Ajax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서버에 자료를 요청할때 화면의 전환 없이 요청한 자료를 전송받을 수 있고 기존에는 자료를 요청한 경우에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는데 반해 사용자가 기다릴 필요 없이 다른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Ajax를 사용하기전과 후에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다.
Ajax 사용 전 방식:
사용자가 자료를 요청하면 반드시 서버컴퓨터를 거쳐야만 자료를 요청 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자료를 요청하면 잠시 페이지가 서버 스크립트 페이지로 갱신되어 화면이 깜빡거리고 그동안 사용자는 어떤 작업도 할 수 없게 된다.
Ajax 사용 후 방식:
사용자가 서버에 자료를 요청할 경우 서버스크립트 페이지를 거치지 않아도 자료를 받아 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는 사이에도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카페나 블로그의 게시글에 댓글을 달 때 페이지 전환 없이 바로 할 수 있는 것도 Ajax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많이 알고 있는 예로 페이스북의 댓글 기능과 구글 지도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Ajax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웹서버를 설치해야 하는데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이 웹서버가 있어야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완성된 웹문서를 볼 수 있고 웹서버에 HTML 문서를 저장해야 한다.
사용을 위해서는 오토셋(Autoset)을 설치하고 내 PC를 간단히 아파치 서버(Apache Sever) 컴퓨터로 세팅하고 사용하면 된다. 다음에는 관련 메서드를 알아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