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전자상거래에 관한 토론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도입요인 분석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분석의 틀은 혁신확산이론에 기반을 둔 모델이라고 하겠다. 혁신확산 모델에 기초한 연구의 결과들은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파트너의 영향, 환경의 불확실성과 같은 외부압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조직의 특성요인인 최고경영진의 의지, 정보시스템 성숙도, 조직의 기대수용성, 재무적 비용부담 능력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외에도 인지된 이익 내지는 정부의 정책 등이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TAM을 이용한 분석에서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혁신확산이론이 아닌 조직의 내∙외적 요인에 의한 분석이나 비교연구에서도 위에서 언급된 요인들이 비교적 중요한 도입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자상거래의 도입이 외부환경의 압력에 의하여 더욱 촉진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진이 강한 의지를 가지고 조직의 내적요인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며, 정부는 중소기업이 전자상거래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개발과 관련하여 자체개발 보다는 외주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이유로서 여러 가지 논의가 있지만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것은 자원의존이론으로서 조직의 내적자원의 한계점이 뚜렷한 중소기업으로서는 이들 자원을 보완하는 관점에서 외주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소기업으로서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외주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며 외주 관련 의사결정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로서도 중소기업의 정보기술 외주와 관련된 세제혜택 등을 마련하여 중소기업들의 외주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전자상거래의 성공적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기술, 조직, 법률, 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Lynch and Beck, 2001), 법률 및 경제적 요인 등과 같은 거시적 요인이 아닌 미시적 요인에 있어서는 초창기의 기술 중심 요인에서 관리적 요인으로 그 중요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초창기의 중요성공요인은 컴퓨터 사용경험이나 정보시스템 계획 및 통제수준 등 정보시스템의 개발과 관련된 직접적인 요인이 주를 이루었으나(DeLong,1998), 활발한 외주와 더불어 이러한 기술적 요인보다는 조직의 전략적 목적, 파트너나 고객 등과 같은
조직 환경요인과의 관계 등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중소기업은 전자상
거래 도입 및 구현의 명확한 동기를 파악해야 하며, 자사의 전략적 목적달성을 위한 전자상거래의 역할
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중소기업은 전반적으로 교육훈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제약조건으로 말미암아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Gibb, 1997; Kitching, 1999). 그러나 전자상거래를 성공적으로 조직에 구현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직변화를 조직구성원들이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교육훈련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의 정책도 중소기업의 여러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단순한 정보의 전달이 아닌 조직변화를 관리할 수 있는 교육훈련과정을 중소기업 구성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를 하여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의 기업경쟁력은 네트워크화된 기업들의 연결로 나타날 것이며 이러한 연결은 기업의 전자상거래 역량에 의하여 좌우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관련 연구의 동향에 대한 분석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과 더불어 정부의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지원정책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