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교육훈련은

by 궁금증해결소 2020. 3. 21.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교육훈련은


앞에서도 언급되었다시피 새로운 정보기술, 특히 전자상거래는 중소기업에게 중소기업으로서 가지게되는 여러 환경적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이 이러한 기회를 잘활용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는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다. 중소기업이 전자상거래를 잘 활용하지 못한다고 하면 그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중소기업은 전통적으로 교육훈련의 필요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교육훈련의 실행 및 그 평가에 걸쳐 전반적으로 교육훈련에 취약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Kandelin 외(1998)는 전자상거래와 같은 신기술을 조직에 구현하는데 중요한 세 가지 조직상의 이슈를 파악하였는데 그 이슈들은 참여, 최고경영진의 지원, 교육훈련이었다. 이 중 교육훈련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었는데 교육훈련은 활동의 효과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경험을 통해 지식과 기술 및 자세를 개발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한 계획에 의한 체계적인 노력으로 정의되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구현은 조직의 다양한 변화를 불러오게 되고, 이들 변화는 조직훈련을 통하여 긍정적 효과를 조직에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중소기업의 노력이 전자상거래의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은 시간, 재정 및 인적자원 등의 부족으로 인하여 교육훈련에 충분한 투자를 할 수 없는 형편이다(Storey, 1994). 유럽의 56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인터뷰에서도 전자상거래가 이들 기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도 교육훈련은 여전히 중요하지 않은 요인으로 인식이 되고 있으며 따라서 교육훈련의 잠재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있었다(Barry and Milner,2002). 이 조사의 응답 중소기업들은 전자상거래와관련된 교육훈련을 중요 우선순위로 두지도 않았고 단기간의 정보제공 정도의 교육훈련만 하고 있는 상태였다.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중요한 장애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무자원, 시간, 전문성, 시설 등의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e-learning은 새로운 형태의 교육훈련 매체로서 이와 같은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영국의 전자상거래를 실시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elearning 실험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elearning에 대한 종업원들의 부정적 자세로 말미암아 기대한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