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성공요인을 더 자세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신종철 외(2004)가 중소기업의 인터넷 마케팅의도를 제품 및 조직특성요인과 환경특성요인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제품 및 조직특성 변수 중 제품의 인터넷 적합성, 마케팅 자원 제약, 구성원의 인터넷 지식, 경로의존도가 환경특성 변수로는 동종업계의 정보화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가 성공요인을 분석한 것은 아니지만 연구결과는 중소기업들이 인터넷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어떠한 요인들에 유의를 해야 하는지를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전자상거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대일 마케팅을 위한 개인화시스템의 개발에 얼마나 긍정적인가를 조사한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이 아직까지는 개인화를 위한 전자상거래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에 있어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 조사대상 중소기업들은 향후 몇 년 내에 전자상거래를 위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상당한 투자를 할 의향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화를 위한 투자에는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유럽의 46개 전자상거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조사(Jeffcoate et al., 2002)에서 컨텐츠, 편리성, 통제, 상호작용, 커뮤니티, 가격민감도, 브랜드 이미지, 몰입, 파트너십, 업무과정 개선, 통합 등 11개의 중요성공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성공요인들은 전자상거래 발전의 3단계에 따라 다시 분류되었다. 먼저 초기단계로 경쟁우위를 처음으로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몰입, 컨텐츠, 가격민감도, 편리성이 중요성공요인으로 파악되었고, 두 번째로 사업이 성장하고 정립이 되는 단계에서는 통제, 상호작용 및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성공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대량의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단계에서는 파트너십, 업무과정 개선 및 통합이 중요성공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세형 외(2004)가 우리나라 중소기업 전자상거래의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전자상거래 실행변수들인 거래주체별로 나눈 전자상거래유형, 전자상거래의 전략적 활용형태인 전자상거래전략, 전자상거래 수행의 형식성 여부를 측정하는 전자상거래 형식, 전자상거래를 통한 조직간 연계활동의 성격인 전자상거래 성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분석결과 전자상거래 형식과 전자상거래 성격은성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자상거래 유형 및 전략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초창기 중소기업의 컴퓨터사용 성공요인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DeLong(1988)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컴퓨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은 조직의 컴퓨터 사용 경험, 고위경영진과의 상호작용, 정보시스템계획수준 및 통제수준 등이었다. 오늘날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성공의 중요요인은 활발한 외주와 더불어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기술의 수준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아지는 반면에 조직의 전략적 목적, 파트너나 고객 등과 같은 조직 환경요인과의 관계 등 관리적 특성이 그 중요도를 더해 가는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Rao 외(2003)는 중소기업 전자상거래의 성공요인을 촉진요인과 장애요인으로 나누어서 전자상거래 발전단계 모형에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총 153개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정리된 것으로 먼저 발전단계는 출현(presence), 포털(portals), 거래통합(transaction integration), 기업통합(enterprise integration)의 4단계를 제시하였다. 출현단계의 촉진요인은 조직의 전략적 목적달성을 위한 인터넷 사용에 대한 몰입정도(commitment)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의 요인으로 컨텐츠, 경쟁 환경에서 어느 정도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가격유연성, 인터넷 접속비용이 제시되었다. 장애요인으로는 조직의 신기술에 대한 저항 및 조직 내의 기술전문성, 경영진의 수용, 재무적 투자, 정보통신기반구조의 개발 등으로 나탔다. 포털단계의 촉진요인은 조직내부의 변화, 투자, 시스템 사용의 용이성 등이었고 장애요인은 B2B 인터페이스 개발 및 문화와 언어문제였다. 거래통합단계의 촉진요인은 필요한 정보기술을 획득하거나 수익구조를 해치지 않을 정도에서 외부로부터 그와 같은 기술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능력, B2B에 필요한 파트너십, 전자상거래커뮤니티의 개발, 지불시스템 확보 등이었고, 장애요인은 재무시스템, 정부의 조세 및 통상 정책, 보안, 법률환경, 지적재산권 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합단계의 촉진요인은 내부직원의 역량, 업무과정의 통합 및 통제, back office 통합 등이었고, 장애요인은 기술가용성, 통상 및 거래처리에 있어서국제표준, 전자시장의 발전, 네트워크의 복잡성 등이었다. 이와 같이 단계모형에 의한 촉진요인 및 장애요인의 제시는 중소기업이 전자상거래를 시도함에 있어서 자신의 단계를 파악하고 극복해야 할 장애요인과 활용해야 할 촉진요인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댓글